1. 모델링의 정의
• 모델 : 현실 세계의 다양한 현상에 대해서 일정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해 놓은 모형
현실 세계의 추상화된 반영
• 모델링 : 모델을 만들어가는 일
표기법에 의한 규칙을 가지고 표기하는 것
모델에 대한 양상이나 관점을 연관된 사람이나 그룹을 위하여 명확하게 하는 것
복잡한 현실세계를 단순화시켜 표현하는 것
어떤 것에 대한 것을 최종대상이 구축되도록 하는 계획으로서 기여하는 것
2. 모델링의 특징
• 추상화 : 현실세계를 일정한 양식에 맞추어 표현을 하는 것
다양한 현상을 일정한 양식인 표기법에 의해 표현
다른 표현으로 모형화, 가설적이 있다.
[ 추상화 : 抽象化 / 抽 : 뺄 추 , 象 : 모형 상 , 化 : 될 화 ]
• 단순화 : 현실세계의 약속된 규약에 의해 제한된 표기법이나 언어로 표현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 단순화 : 單純化 / 單 : 홑 단 , 純 : 순수할 순, 化 : 될 화 ]
• 명확화 :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대상에 대한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
[ 명확화 : 明確化 / 明 : 밝을 명 , 確 : 굳을 확, 化 : 될 화]
• 모델링은 '현실세계를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하기 위해 일정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기법'
※ 정보시스템 구축에서는 모델링은 계획/분석/설계 할 때 업무를 분석하고 설계하는데 이용하고
이후 구축/운영 단계에서는 변경과 관리의 목적으로 이용.
3. 모델링의 관점
• 크게 세가지 관점 : 데이터 관점 / 프로세스관점 /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관점
• 데이터 관점 :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지 또는 데이터간의 관계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모델링하는 방법(What, Data)
• 프로세스관점 : 업무가 실제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모델링하는 방법(How, Process)
•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관점 : 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는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지 모델링하는 방법(Interaction)
댓글과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자격증,공부 중 > SLQD,SQL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열을 행으로 전환하는 방법(crosstab이 없을때) (0) | 2021.04.17 |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0) | 202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