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적 가벼운 VScode를 사용해서 flutter 개발을 진행할 것이다.

 

 - 해당 주소로 이동하여 VScode를 설치하면 됩니다.(해당 OS에 맞게)

 

Download Visual Studio Code - Mac, Linux, Window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Download Visual Studio Code to experience a redefined code editor,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code.visualstudio.com

 

 - 다운로드한 파일을 설치하면 끝입니다.

 

VScode에 flutter 설치하기

 - VScode의 좌측 아이콘을 보면 5번째 아이콘이 마켓으로 가는 아이콘입니다.

vscode 좌측 아이콘

 - 검색란에 flutter를 검색하고 해당 플러그인을 install 하면 끝입니다.

flutter 검색 후 install 하는 방법

 

'자기개발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환경 설정  (0) 2022.05.03
[FLUTTER] 이론  (0) 2022.05.02

flutter 설치 방법

  - 주소에 접속합니다. https://flutter.dev/

 

Flutter - Build apps for any screen

Flutter transforms the entire app development process. Build, test, and deploy beautiful mobile, web, desktop, and embedded apps from a single codebase.

flutter.dev

 

 - 우측 상단의 Get started를 클릭합니다.

flutter 설치 1

- OS 맞게 클릭합니다.

flutter 설치 2

 

- flutter zip 파일을 설치합니다.

- 2번 주의사항 : zip파일을 C:\Program Filse\ 안에 설치하지 마세요.

                      설치경로에 특수문자, 한글, 공백이 포함된 경로에 설치하지 마세요.

flutter 설치 3

 

- 설치 파일을 압축 풀면 끝납니다.

flutter 설치 4

 

- 환경변수 설정을 위해 좌측 하단에 돋보기 모양을 클릭합니다. 그 후 '환경'을 검색하여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을 클릭합니다.

flutter 환경 변수 설정 1

 

 

 - 하단의 '환경 변수(N)...'을 클릭합니다.

flutter 환경 변수 설정 2

 

 - '시스템 변수(S)'에서 'Path'를 찾아 클릭 후 설치했던 flutter파일의 bin의 경로를 새로만들기로 넣어줍니다.

flutter 환경 변수 설정 3

 

 - 확인 클릭 후 시스템 속성에서도 확인을 눌러 종료해 줍니다.

 - Win + R 키를 사용하여 cmd를 열어 flutter를 검색하여 정상적으로 문구가 나온다면 Path 설정까지 완료되었습니다.

flutter Path 설정 확인

'자기개발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VScode 설치  (0) 2022.05.04
[FLUTTER] 이론  (0) 2022.05.02

fuchsia

 - 마이크로 커널기반의 OS(micro Kernel - 최소한의 필수 적인 기능만 가지고 있는 커널)

 - 소형 시스템으로 설계된 작은 커널

 - 고속의 프로세스를 갖춘 개인용 컴퓨터를 타겟으로 만듬(핸드폰, PC, 노트북)

 - 음성명령을 중점으로 개발(AND는 화면터치를 기반(최적화)으로 되어 있는 OS)

 - 안드로이드를 파편화(업데이트 쉽게 할 수 있음)

 

flutter

 - 프레임워크

 - fuchsia를 만들기 위한 툴

 - Dart를 사용

 - 크로스 플랫폼 지원(AND, IOS 동시 지원)

 - 인터페이스 하나로 통일 가능

 - hummingbird 웹프로젝트를 사용해 앱웹제작 가능

'자기개발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VScode 설치  (0) 2022.05.04
[flutter] 환경 설정  (0) 2022.05.03

가000001, 가000002, 가000003, 가000004 이런식으로

 

가00000X 이런식으로 반복되는 항목이 아닌 것을 찾으려고 합니다.

 

         /가00000[0-9]{1}/g

 

식으로 정규식을 만들면 가000000 ~ 가000009까지 사용가능

 

         /가0000[0-9]{2}/g

 

식으로 정규식을 만들면 가000000 ~ 가000099까지 사용이 가능

$('#a1').val();

input tag에 ID를 부여하여 사용하는데 값이 자꾸 안 찾아지길래 확인해 보았다.

 

나는 555의 value를 얻고 싶었지만 444의 값만 얻게 되어서 확인해 보니

 

<input type="text" id="a1" val="444"/>





.....






<input type="text" id="a1" val="555"/>

 

저 위쪽에 똑같은 id 값을 가지고 있는 input 태그가 있어서 맨 위에 있는 값만 가지고 온 것 같았다.

 

 

 

'▶Devel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식] 반복적인 정규식 만들기  (0) 2021.05.01
[보안] XSS 개념  (0) 2020.06.08
[JS] javaScript 특정문자 치환 - 함수 : replace()  (0) 2020.06.03

crosstab() 함수를 사용하면 되지만

 

crosstab을 사용하지 못할때는 value를 사용하여서 행으로 전환하면 된다.

 

SELECT col1, col2, col3
  FROM tableA

쿼리 결과

col1 col2 col3
1 2 3

 

일때

 

열을 행으로 전환시

 

 

 

SELECT v.*
  FROM tableA
       value((col1), (col2), (col3)) as v(col)

쿼리결과

col
1
2
3

'▶ 자격증,공부 중 > SLQD,SQL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0) 2020.04.08
모델링의 이해  (0) 2020.03.31

sysdate()와 now()는 현재 시간, 날짜를 가져올 수 있는 편리한 함수입니다.

 

그런데 차이를 아시나요??

 

sysdate()는 문구가 나올 때 마나 조회를 해서 가지고 오는 것이고

now()는 쿼리가 실행했을 때 시간을 가지고 옵니다.

 

예를 들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pg_sleep()을 사용해서 함수의 차이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먼저 sysdate()입니다.

 

sysdate() 함수

 

2초의 시간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now()입니다.

 

now() 함수

 

시간 차이가 없습니다.

 

그리고 now()함수가 sysdate()보다 빠르다고 합니다.

 

대량의 시간으로 조회하는 쿼리를 작성하시는 분들은 sysdate()보다 now()를 사용해서 작성하는 쿼리가 더 많습니다.

PostgresSQL에도 MySQL처럼 sleep() 함수가 pg_sleep()로 있습니다.

 

sleep()함수는 해당 시간 만큼 프로세스의 기동을 멈추는 역할을 하는 함수입니다.

 

사용법은

 

pg_sleep(2) : 2초 delay.

 

2초 딜레이 발생

 

b.date_completed >  a.dc::date + INTERVAL '1 DAY 7:20:00'

a.dc::date 처럼 나타 나 있는 절이 코드를 보면 가끔 있을 것이다.

 

::(double colon)은 CAST/CONVERT 함수와 같은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CAST/CONVERT 함수는 데이터 형식끼리 실시간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사용법은 

 

CAST(abc AS type)

abc::type

CONVERT(type, abc)

 

세가지 전부 사용가능하며 abc를 type으로 데이터 형식을 변환합니다.

'▶Devel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sysdate() / now() 함수  (0) 2020.06.11
[PostgresSQL] sleep() 함수  (0) 2020.06.11
[PostgreSQL] 집계 함수  (0) 2020.04.06
[PostgreSQL] JOIN(INNER, OUTER, SELF)  (0) 2020.04.06
[PostgreSQL] ROWNUM - 행의 수 / LIMIT - 행 갯수 제한  (0) 2020.04.06

(Cross-site Scripting)는 웹 상에서 가장 기초적인 취약점 공격 방법의 일종으로, 악의적인 사용자가 공격하려는 사이트에 스크립트를 넣는 기법을 말합니다. 공격에 성공하면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는 삽입된 코드를 실행하게 되며,  보통 의도치 않은 행동을 수행시키거나 쿠키나 세션 토큰 등의 민감한 정보를 탈취합니다.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이란 이름 답게,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공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격 방법이 단순하고 가장 기초적이지만, 많은 웹사이트들이 XSS에 대한 방어 조치를 해두지 않아 공격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게시판 등에 코드를 삽입하는 경우도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메일과 같은 매체를 통해서도 전파됩니다. 물론, HTML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Text-Only 게시판이나, BBCode를 이용하는 위키위키 등에서는 XSS가 발생할 일은 없습니다. 단, <code>{{{#!html HTML}}}<code> 을 이용해서 HTML 태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취약점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주로 CSRF를 하기 위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종종 CSRF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으나, XSS는 자바스크립트를 실행시키는 것이고, CSRF는 특정한 행동을 시키는 것이므로 다릅니다.

 

 

예제 글 등록

 

 

 

글 등록 후 실행 했을 때.

 

 

 

<c:out> 처리함으로써 그냥 문자열로 출력이 가능함.

+ Recent posts